소주 가씨(蘇州賈氏)

2충1효(二忠一孝)의 가문

소주 가씨는 조선의 국운이 쇠하여 어려울 때 명나라에서 원군으로 참전하여 공을 세운 가유약을 중시조로 하여 파생된 자랑스러운 자손입니다.

족 보

한 국가의 역사를 알아야 함은 지극히 옳은 일이며 한 사회 한민족의 계대손손의 조장의 근원을 알아야 함은 더 당연한 이치인 것이다.

무자보(戊子譜)

가덕소(賈德昭) 회장은 무자보 발간사에서 무자보 발간을 함께 기뻐하며 족보는 승선지도(承先之道)로서 한 가문의 윗대 조상으로부터 후손 만대까지 계승해야 할 역사이며 중요한 가보라고 설파했다. 오늘날과 같이 발전한 문화 정보화 사회에서 문중 역사를 계승하고 소주 가씨의 자손으로서 긍지를 느끼며 이 보책으로 하여금 근원과 역사를 깊이 알고 조상님들의 음덕을 회고하고 족속 간에 우의를 돈독히 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원했다.

경자보(庚字譜)

갑자보 발간 이후 36년이 경과한 시점에 발간된 소주 가씨 대동보이다. 한학으로 박식하셨던 가광로(賈光魯) 회장께서는 경자보 서문에서 그간에 동아지변으로 일제로부터 해방되었고 동족상잔의 6·25전쟁 시의 피난과 전화와 남북한 간 분단으로 인하여 민족사적 격변기를 거쳤다고 술회했다.

갑자보(甲子譜)

갑자보는 가형로(賈衡魯) 회장께서 누차 방문하여 완산(完山) 유호근(柳浩根) 선생이 쓴 서문을 게재했다. 일제 식민시대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제약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회장단이 전국을 탐방하여 갑자 대동보서를 발간한 노고를 높이 치하하고 감사해야 할 업적이다.

기해보(己亥譜)

기해보는 기사보의 후속 대동보로서 기사보에서 소외되었던 계파까지 보완하여 발간되었다. 가병무(賈秉珷) 회장께서 침구와 식량을 꾸려 적막한 해변 거소까지 찾아가 기해보 서문을 안동(安東) 김병창(金炳昌)께 부탁하여 수록했다.

기사보(己巳譜)

추사(秋史)는 서문에서 “주(周)나라 강왕(康王) 때 당숙우(唐叔虞)의 아들을 가 땅에 봉하여 가백(賈伯)을 삼아서 수세에 미치게 되므로 드디어 환숙(桓叔)은 멸한 바가 되었는데 이로 인하여 가(賈)씨로 성씨가 되었느니라”라고 성씨의 근원을 밝혔다.

계해보(癸亥譜)

서기 1983년에 발행된 계해보(譜)는 소주 가씨 대동보(蘇州賈氏大同譜)이다. 그동안 여러 차례 발행되었던 족보는 한문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한글세대인 신세대들이 쉽게 이해하기가 어려워 이 한문 족보를 한글로 편집하여 누구든지 쉽게 읽어서 우리 조상들의 빛나는 업적을 귀감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 자 족 보

직계도

직계도는 후손을 기준으로 조상과 후손들을 세대에 따라 나열한 것으로, 가장 직접적인 혈연 관계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족보는 가장 상위에 시조(가장 먼 조상)에서 시작하여 시대별로 그 아래로 내려가며 각 세대의 가족 구성원들을 기록합니다. 각 개인은 부모의 이름, 형제자매, 자녀 등과 함께 기재되어 직계도를 통해 가족 구성원 간의 혈연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계보도

계보도는 후손이 속한 파를 기준으로 가계를 시대순으로 나열하여 각 세대 간의 부모와 자식, 형제자매 등의 혈연 관계를 그림이나 표로 표현한 하였습니다.

인물정보(인물편람)

소주가씨(蘇州賈氏)는 중국 대륙에서 건너온 성씨이다. 중시조 가유약(賈維鑰)이 임진왜란 때 조선에 원병으로 와서 전사한 이후, 그 후손들이 명나라로 귀국하기 위해 태안반도 안흥항으로 왔지만 끝내 귀국하지 못하고 안흥에 정착하였다. 500년의 기록 중 주요 인물을 소개합니다.

정보 찾기

선조실록 등 주요 역사에 기록한각종 문서에서 그 기록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이충일효(二忠一孝)

인간이 태어나서 나라에 대한 충성심(忠誠心)을 갖고 자신을 낳아주고 길러준 부모에게 효도(孝道)해야 함은 동서고금,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백행(百行)의 근본이고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이며 최고의 덕목입니다. 2충1효(二忠一孝)는 명나라 병부낭중(兵部郎中)으로 한국의 소주 가씨 중시조인 가유약(賈維鑰)과 아들인 명군 유격장군(遊擊將軍) 가상(賈祥), 손자인 명군 종사관(從事官) 가침(賈琛) 3대의 조선 참전과 효행을 표상하는 말입니다.

2충1효 전국백일장

  • 우리나라의 미래를 짊어질 청소년들의 건전한 가치관 형성과 나라 사랑을 기본으로 경로효친 사상을 일깨워주는 것은 물론 문학적 잠재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돌문학회와 2충1효 문화연구원 공동 주최, 교육타임즈·한국청소년보호연맹 서산·태안지회 주관, 충남교육청 후원하는 ‘제14회 2충1효 전국백일장’공모전을 개최합니다.
  • 참가 대상 :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재학생 및 동등 학력자)·일반인
  • 제14회 2충1효 전국백일장 공모전 수상작 보기

이충일효(二忠一孝) 문화연구원

  • 1) 가유약 3세를 비롯한 후손의 역사학적 중요 자료에 대한 수집, 연구 및 책자 발간
  • 2) 충효 정신을 홍보하고 널리 전파하기 위한 행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 3) 청소년(초·중·고·대학생) 대상 인성함양, 문학활동, 창의·체험, 공동체 활동 지원
  • 4) 목적사업에 부합되는 사업의 수탁운영 및 전문인력 양성
  • 5) 목적사업에 부합되는 국내·외 전문기관과 교류협력 증진
  • 6)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위임·보조하는 사업의 시행
  • 7) 기타 본 연구원의 설립 취지에 부합하는 사업 등

一扼拱三路
廟籌防未然
安危西蜀地
翻覆大明天
鰐海恬波浪
狼山絶燧烟
苞桑戎馬繫
坐嘯老兵仙

한 곳 움켜쥐면 삼로(三路) 장악하니
미연에 방비코자 하는 묘당(廟堂)의 계책이라
서촉(西蜀) 땅의 안위(安危)
대명(大明) 하늘이 뒤집어진다
악어 바다의 파도가 편안하고
이리 뫼의 봉화가 끊겼구나
뽕나무에 군마 매고
휘파람 부는 늙은 병선(兵仙)이여

안흥진성의 건물에서 지은 <검소루(劒嘯樓)>와 <제승 루(制勝樓)>가 수록

≪석호집≫

현재 3000+ 등록 되어 있습니다…..

Our family is with you wherever you are in the world.

조선왕조 실록과 “가유약(賈維鑰)”